신학공부(48)
-
말라기 1분요약 1분성경
말라기(Malachi) 1분요약 마르아키(מלאכי; 말라기, 말라키)는 ‘나의 사자’, ‘나의 천사’라는 뜻으로 히브리 성서에서는 ‘역대기’가 마지막에 위치하지만 기독교 성서에는 ‘말라기서’가 구약의 마지막에 위치합니다 말라기는 종교, 사회적 타락과 퇴보 무엇보다 종교 생활의 회의적 반응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포로기 직후의 시대상에 오는 이스라엘의 상처를 보여주는 듯합니다 많은 경건한 유대인들은 바빌론이 망하고 해방이 되어 본국으로 귀환하여 성전이 재건되면 메시아 왕국이 실현되리라 믿었으나 현실은 이런 기대와 거리가 멀었고 그래서 실망하여 냉소주의와 불신앙이 팽배했습니다 이 같은 절망적 환경에 처한 이스라엘 백성을 각성시키기 위해 말라기가 등장하게 되는데 그는 오늘날 변호사의 어투로써 웅변적인 설교나 ..
2021.09.03 -
스가랴 1분요약 1분성경
스가랴(Zechariah) 1분요약 스가랴(זכריה; 즈가리야, 즈카르야)는 ‘여호와께서 기억하신다’는 뜻으로 제사장 가문의 출신인 동시에 그 가문의 족장이기도 합니다 또한, 스가랴는 학개의 임무를 도우려고 대기하다가 나타난 것만 같은 예언자로 학개가 성전 재건이라는 현실적이며 실재적인 활동가라면 스가랴는 도덕적 개혁에 더 큰 관심을 가진 이상주의자이자 학자적인 인물입니다 그러나 학개와 스가랴는 서로 조화를 이루어 각자의 사명을 감당하였습니다 스가랴서의 목적은 ‘성결’을 요구하면서 동시에 성전 건축을 격려하며 하나님의 원수들이 받을 심판과 하나님의 백성들이 받을 축복의 약속의 말씀입니다 그 약속은 메시아인 그리스도에 관한 예언과 종말에 관한 묵시적인 내용으로 스가랴서는 소예언서 중에 가장 긴 책이기도 ..
2021.09.03 -
학개 1분요약 1분성경
학개(Haggai) 1분요약 학개(חגי; 하깨, 하까이서)는 ‘잔치’ 또는 ‘축제’라는 뜻으로 성전 재건을 독촉하려는 목적으로 기록되었습니다(1:8) 사람들은 여호와의 전을 건축할 시기가 이르지 않았다고 하지만(2) 하나님의 전이 무너졌는데 좋은 집에 거하는 것이 가하냐고 학개는 묻고 있습니다(4) 이 말씀은 신약의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마 6:33)는 말씀으로 이어집니다 그래서 산에 올라가 나무를 가져다가 전을 건축하라고 하십니다 그리하면 하나님께서 그로 인하여 기뻐하고 또 영광을 얻으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1:8) 하나님께서는 우리와 함께하시겠다고 약속하셨으며(1:13) 우리의 마음을 감동시키시며(1:14) 평강을 주시겠다고 또 약속하셨습니다(2:9) https://youtu.be/DP..
2021.09.03 -
스바냐 1분요약 1분성경
스바냐 1분요약 Zephaniah צפניה 스바냐(스바니야)는 히브리어 체판야(צפניה) ‘여호와께서 감추신 자’라는 뜻으로 왕족 혈통(히스기야 현손)의 유일한 예언자이기도 합니다 스바냐의 주제는 ‘여호와의 날’로써 핵심단어는 철저한 진멸로 (Utterly Consume) 하나님께서 지면에서 모든 것을 진멸하시라는 말씀입니다(1:2) 여호와의 날이 가까웠으므로(1:7) 하나님을 찾으며 공의와 겸손을 구해야 합니다(2:3) 그들(열방)이 심판을 받는 까닭은 교만하여 스스로 커서 만군의 여호와의 백성을 훼방하였기 때문이며(2:10)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아니하고 교훈을 받지 아니하며 여호와께 의뢰하지 아니하며 하나님에게 가까이 나아가지 아니하였기 때문입니다(3:2) https://youtu.be/7C19..
2021.09.03 -
나훔 1분요약 1분성경
나훔(Nahum) 1분요약 나훔(נחום)은 ‘위로’ 또는 ‘기쁨’이라는 뜻으로 앗수르(아시리아)의 수도 니느웨(니네베)의 멸망을 통한 하나님의 위로와 광복의 기쁜 소식을 예언을 통하여 말씀하고 있습니다 나훔서는 그 문체에 있어서 비참한 심판이나 흉한, 그리고 심각한 범죄를 생생하게 묘사하며 예언을 정열적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그 재판을 하나님께서 주재하신다는 것을 들려주기 위함에 있습니다 또한, 나훔 전의 예언자들이 대체로 이스라엘의 죄에 대한 예언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나훔은 유다의 숙적 아시리아에 대한 불타는 듯한 분노와 증오가 그의 예언의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나훔의 메시지는 이스라엘의 재난-구원의 도식을 갖는 일반 예언과 달리 예언적 예배의식문으로써 보복에 대한 감사의 찬송입니다 이러한 ..
2021.09.03 -
요나서 1분요약 1분성경
요나 1분요약 Jonah יונה 요나(יונה)는 엘리야를 환대한 사렙다 과부의 아들로 (왕상 17:9, 왕하 14:25) ‘비둘기’라는 뜻인데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침략국 아시리아의 수도이자 오늘날 이라크에 위치한 니느웨(니네베)로 가서 말씀을 전하라고 합니다(1:1-2) 그런데 애국심이 강했던(?) 요나는 정반대로 오늘날 스페인 다시스(타르시스)로 배를 타고 도망갑니다(1:3) 그러자 하나님께서 폭풍으로 위기를 만드시니(1:4) 요나는 죽으면 죽었지 니느웨로는 못가겠다며 자기를 바다에 던지라고 합니다(1:12) 결국 요나는 바다에 던져졌지만(1:15) 하나님께서 물고기를 준비해 주셔서(1:17) 3일 동안 물고기 배 속에 있다가 요나는 잘못을 뉘우칩니다 하나님께서는 요나를 토해내게 하시고(2:10) ..
2021.09.03